촬영기법

사진의 구도 기초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용대 댓글 0건 조회 1,862회 작성일 10-01-09 07:49

본문

1. 황금분할로 구성하라.
예부터 가장 아름답고 안정된 구도로 여겨지던 것이 바로 황금분할이다.  이는 한 개의 선을 a와 b로 분할(a>b)할 때 b : a = a : (a+b)가 되도록 분할하는 것을 뜻하는데, 대략 3 : 2 정도다. 조각이나 건축에는 이 황금비율이 자주 사용된다. 사진에서도 필름이나 인화지 등이 황금비를 따르고 있다.  황금비는 사진 찍을 때도 적용할 수 있다. 프레임 속의 화면 분포를 대략 1/3씩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가로로 3등분, 세로로 3등분이 되는 직선을 그어 그 선과 점이 있는 위치에 주 피사체, 부 피사체, 수평선 등을 배치해야 한다.  위 사진을 보면 황금분할이 된 사진과 그렇지 않은 사진의 차이점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황금분할이 된 사진이 훨씬 더 안정감이 있게 느껴진다.

2. 좋은 각도를 잡은 뒤 최대한 접근하라.
사진을 찍기 전에 먼저 해야 하는 일은 피사체의 특징을 알아내는 것이다.  특징을 파악한 뒤에는 그 특징을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줄 수 있는 구도를 잡는다. 구도를 잡은 뒤에는 피사체를 적절한 각도와 위치로 이동시킨다.  적절한 각도로 피사체를 이동시킨 뒤에야 감상하는 사람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을 만한 사진이 나온다. 피사체가 사물이라 움직일 수 없다면 촬영자가 움직여야 한다.  인상적인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좋은 위치를 잡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주제에 최대한 접근해 가까이서 찍는 것도 주제를 돋보이게 한다.  위가 좋은 예다. 위 사진은 평범한 위치에서 촬영한 것이지만 아래 사진은 구도를 잡은 뒤 최대한 접근해서 찍은 사진이다.

3. 주연을 빛나게 할 조연을 찾아라.
주가 되는 피사체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나면 그 주인공을 보조해줄 조연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커다란 태양을 강조하고 싶어 초망원 렌즈를 가지고 태양을 찍었지만 태양의 크기를 가늠해줄 다른 보조 피사체가 없다면 보기에 심심한 사진이 될 수밖에 없다.  꽃 사진 역시 마찬가지다.  꽃만 접사로 크게 확대하여 찍는 것보다는 나비가 날아와서 앉았을 때 촬영하는 것이 더욱 눈길을 끈다.  위 사진을 봐도, 태양만 있는 사진보다 배가 등장하는 사진이 더욱 인상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 전경을 채워라.
아웃 포커싱(Out of Focusing)이란 앞쪽에 초점을 맞춘 피사체만 선명하게 하고 뒤쪽 배경을 흐리게 해서 원근감을 나타내는 기법이다.  반대로 앞쪽을 흐리게 하고 뒤쪽을 선명하게 하는 것을 인 포커싱(In Focusing)이라고 한다.  풍경을 찍을 때는 사진 전체가 선명하게(Pan Focusing) 나오도록 하는 것이 좋다.  원근감을 나타내려면 프레임 전체에 전경, 중경, 원경을 구별해서 피사체를 배치하는 것이 좋다.  특히 화면 앞쪽에 무언가를 채워서 멀고 가까움을 표시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위 사진을 보면 늪 사진을 찍었을 때 앞쪽에 배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차이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앞쪽에 무언가를 배치하면 원근감과 입체감이 살아난다는 것을 명심하자.
5. 역광으로 사물을 관찰하라.
사진의 ‘정석’은 피사체가 해를 바라보는 상태(순광)에서 찍는 것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순광으로 사진을 찍으면 피사체의 형상이 깨끗하고 정확하게 나온다.  그러나 음영에 의한 질감이나 입체감이 없기 때문에 평면적인 사진이 나온다.  질감과 입체감을 잘 나타내려면 순광으로 형태를 잘 나타내고 후광(뒤에서 비추는 광선)을 비춰서 피사체의 윤곽이 살아나게 해야 한다.  또
사광(비껴 비추는 광선)으로 입체감을 살리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태양에 의존해 사진을 찍어야 하는 상황에서 여러 각도의 빛을 살린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 때문에 생각을 바꿔 역광으로 피사체를 찍어보면 예상치 않게 아름다운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역광으로 찍을 때는 강렬한 태양빛으로 인한 플레어나 고스트(눈으로 봤을 때는 없었던 테두리가 나타나거나 도깨비불과 같은 동그란 모양의 빛이 촬영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이 사진들은 거의 동일한 시간에 촬영한 것이지만 느낌이 상당히 다르다.  위 사진은 편광필터를 장착하고 순광으로, 아래 사진은 역광으로 촬영했다
 
*흐린날, 비오는 날 촬영에는 하늘을 제거하는 편이 좋습니다.*
흐린날이나 비오는 날에 칼라리버셜로 풍경을 찍을 때 구름을 살리기도 하지만
구름이 주체가 되는 프레밍이 아닌 한 하늘을 화면에 넣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러한 일기일 경우 지상 반사율이 낮아
지상의 풍경과 하늘을 동시에 넣으면 하늘이 과다하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흐린 날, 비오는 날, 하늘에는 색이 나오지 않고 하얗게 찍혀 버려
사진적인 힘이 빠져 버리기 때문이다.
이것은 산이나 전원 등 비교적 큰 풍경을 촬영할 경우의 철칙이다.
흑백촬영에서는 현상, 인화에서 보완할 수 있으므로 염려는 하지 않아도 좋으나
이러한 라이팅에서는 피사체의 콘트라스트가 낮아 볼품이 없으므로 풍경촬영은 피하는게 좋다.

어떤 먼 거리를 두고 찍는 촬영이라도 어딘 가 한 점은
반드시 강한 힘을 발휘하는 소재를 찾아 카메라에 담아야 한다.
동시에 이러한 일기에서는 대기의 상태가 좋아 멀리까지 확실하게 보이는 일도 종종 있으므로 가까이 한 포인트로 화면을 응축시켜 원근감을 강하게 표현한다.

또한 하늘을 많이 넣어 비구름이나 눈구름을 강조하여 찍는 방법도 있다.
이것은 구름형태가 흥미로울 때 조건이 유효하다.
구름에 노출을 맞추게 되므로 지상 풍경은 노출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 구름 자체도 어느 정도 부족한 듯이 찍는 편이 박력있게 보인다.


프레밍 또한 대담한 구도로 표현하기 힘든 공기 감을 이끌어 내어 일기 변동을 예감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촬영은 망원계보다 광각계렌즈로 촬영하는 것이 유리하다.

댓글목록

Total 60건 3 페이지
촬영기법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20 김용대 2067 01-09
19 김용대 2069 01-09
열람중 김용대 1863 01-09
17 김용대 2855 01-09
16 김용대 2164 01-09
15 김용대 2100 01-09
14 김용대 2186 01-08
13 김용대 2298 01-08
12 김용대 2088 01-08
11 김용대 2252 01-08
10 김용대 2195 01-08
9 김용대 2149 01-08
8 김용대 2369 01-07
7 김용대 2089 01-07
6 김용대 1951 01-07
5 김용대 2610 01-07
4 김용대 1968 01-07
3 김용대 1842 01-07
2 김용대 1890 01-07
1 김용대 1753 01-07
촬영기법 목록
번호 제목
20
김용대    2067    01-09
19
김용대    2069    01-09
열람중
김용대    1863    01-09
17
김용대    2855    01-09
16
김용대    2164    01-09
15
김용대    2100    01-09
14
김용대    2186    01-08
13
김용대    2298    01-08
12
김용대    2088    01-08
11
김용대    2252    01-08
10
김용대    2195    01-08
9
김용대    2149    01-08
8
김용대    2369    01-07
7
김용대    2089    01-07
6
김용대    1951    01-07
5
김용대    2610    01-07
4
김용대    1968    01-07
3
김용대    1842    01-07
2
김용대    1890    01-07
1
김용대    1753    01-07
게시물 검색
Copyright ⓒ 2010.01.05~ 2024.11.26 Simon's Photo Story All rights reserved. Ver 2.01